SEARCH : 🤵🏻 CI, CD(6) CATEGORY : 🤵🏻 CI, CD(6) TAGS : 🤵🏻 CI, CD(6) ARCHIVE : 🤵🏻 CI, CD(6) 원격 서버 내 파일을 손쉽게 다운로드하기 2021. 10. 24. 들어가며 사내에 보안으로인해 원격 서버 내 파일을 다운로드하기 쉽지 않은경우 원격 서버내 간단한 파이썬 서버를 구축해 제공해줄 수 있다. 파이썬 서버 실행 python -m SimpleHTTPServer 8000 # Serving HTTP on 0.0.0.0 port 8000 ... 파일 다운로드 간단하게 브라우저로 으로 접근하면 아래와 같이 나오며 클릭하면 다운로드 된다. 접근이 안된다면 Outbound 설정에 8000 포트가 열려있는지 확인하자. 주의 사항 VPN을 통해 네트워크가 격리되어있으면 상관없지만 개인서버와 같이 일반적으로 VPN으로 접근하지 않고 Public하게 개방되어있는 경우 악의적인사용자도 해당 포트로 접근해서 파일을 다운로드할 수 있으니 절대 계속 열어두진 말자. Jenkins pipeline, ArgoCD로 K8S배포 자동화 하기 - 2 2021. 10. 18. 들어가며 이전 포스팅에 이어 ArcoCD 구축하는 내용을 포스팅하고자 한다. https://hwannny.tistory.com/113 Jenkins pipeline, ArgoCD로 K8S배포 자동화 하기 - 1 들어가며 개념만 익혔던 k8s를 실제 프로젝트에 적용해보고자 한다. 사용된 환경은 다음과 같다. Spring boot Maven Jenkins-Pipeline ArcoCD GitHub DockerHub K8S 시나리오 구축하고자하는 배포 플로우의 시작점. hwannny.tistory.com 3. ArgoCD 구축 ArgoCD Apply # ArgoCD 네임스페이스 생성 kubectl create namespace argocd # ArgoCD 배포용 메니페스트 다운로드 curl -o argo-cd... Jenkins pipeline, ArgoCD로 K8S배포 자동화 하기 - 1 2021. 10. 18. 들어가며 k8s는 구축했지만 실제 애플리케이션이 k8s에 자동 배포되도록 해야했다. 해당 포스팅에서 사용된 환경은 다음과 같다. Spring boot Maven Jenkins-Pipeline ArcoCD GitHub DockerHub K8S 시나리오 구축하고자하는 배포 플로우의 시작점과 끝은 단순하다. 사용자가 my-app이라는 애플리케이션의 수정사항을 원격 브랜치로 push를 하면 k8s에 배포가 자동화되면 된다. 실제 구축하고자하는 논리적인 배포 플로우의 형태는 아래의 그림과 같다. 구축 단계 Jenkins Pipeline & Github webhook 설정 Jenkinsfile 작성 ArgoCD 구축 1. Jenkins Pipeline & Github webhook 작성 아래와 같이 Pipeline.. [Jenkins] Spring 프로젝트 jar 배포환경 구성하기 2021. 9. 5. 들어가며 기존에 war로 빌드해서 배포되고있는 Spring boot 프로젝트를 jar로 빌드해서 배포할 수 있는 jenkins 환경을 구성해보고자 한다. 아무래도 war로 빌드하면 별도의 톰캣을 구축해서 그 위에 배포해야하지만 Spring boot의 내장 톰캣을 사용하면 설정이 간단하고 유지보수도 편할것같아 변경하기로 했다. 설정 해야할 목록 설정 해야할 목록은 다음과 같다. Publish Over SSH 설정 및 Jenkins에서 접근하고자하는(배포하고자하는) 서버 등록 빌드할 Github repository branch를 가져오도록 설정 빌드전 수행 할 내용 설정 빌드 설정 빌드 후 조치 내용 설정 Publish Over SSH 설정 및 Jenkins에서 접근하고자하는(배포하고자하는) 서버 등록 1... [Jenkins] Jenkins에서 원격서버내에 shell script 실행 시키기 2021. 3. 14. 들어가며 Jenkins 서버가 원격 배포하는 서버에 배포과정에서 shell script를 실행할 필요가있어 정리하고자 포스팅한다. Credential 추가 Jenkins 서버가 원격 배포하는 서버에 shell script를 실행하기 위해서는 일단 접근부터 가능해야한다. 따라서 원격 서버 정버에 대한 Credential을 추가한다. 메뉴 경로는 다음과 같다. Jenkins관리 > Credentials > System > Global credentials > Add Credentials 진입을 했다면 아래와같이 작성하면된다. Private Key 는 SSH방식으로 접근시 사용되는 .pem 파일 내용이다. 보통은 클라우드서비스에서 인스턴스 생성시 받을 수 있을 것이다. 만약 비대칭 키가 없다면 ssh-keyg.. [Jenkins] Jenkins로 자동 빌드 배포 환경 구축하기 2021. 1. 31. 들어가며 회사에서는 이미 빌드 배포환경이 구축되어있기 때문에 구축해볼 기회가 없어 사이드프로젝트에 직접 구축해보면 좋을것같아 구축한 내용을 포스팅하고자한다. 해당 포스팅은 다음의 환경에서 진행됐다. centos 7.5 maven 3.6.1 spring tomcat 7 github Jenkins 설치 jenkins repository 설정 wget -O /etc/yum.repos.d/jenkins.repo https://pkg.jenkins.io/redhat-stable/jenkins.repo key import rpm --import https://pkg.jenkins.io/redhat-stable/jenkins.io.key jenkins 설치 yum install jenkins jenkins 포트 변경.. Previous 1 Next